본문 바로가기
Health

다이어트 무조건 성공하는 마인드셋2

by ID미정 2023. 9. 9.

1탄에 이어 2탄이 찾아왔다. 

아마 이 시리즈는 계속될 것 같다. 

 

다이어트를 결심했다면 아마 대부분 식단에 이어 

"운동"을 하기로 결심할 것이다. 

 

필라테스, 헬스, 수영, 하이킹 등등등...

그런데 운동을 하기 전 가장 많이하는 생각이 있다. 

 

'하 가기싫다~' 부터 시작해서 

'이거 뭐 오늘 하루 한다고 해서 달라지나?'

그리고 이어서 왜 하기싫지, 왜이렇게 나는 의지박약이지? 이런 생각이 들고 

유투브에 운동 동기부여 영상을 찾는다. 

 

또는

나는 운동초보자가 스스로 혼자하고 있다면(피티를 받지 않고 헬스장을 혼자 다닌다던가)

'나는 운동을 잘 몰라서 효율적으로 못해.'

'내가 지금 혼자하는 것보다 다른 사람한테 돈을 내고 배우는게 좋지 않을까?' 같은 생각들로 시작해서 

운동을 하지 않고 갑자기 핸드폰을 들여다본다. 

 

이렇게 

'하기 싫다'로 촉발된 생각 -> 자기합리화를 통해 운동이 아니라 딴 짓을 함 -> 운동 안함 

의 패턴이 이어지고 있다. 

 

남자가 눈을 감고 피곤한 표정으로 의자에 기대는 모습
출처: https://bonlivre.tistory.com/1574

잡념이 꼬리에 꼬리를 물어 결국 운동을 하려 했던 내 의지를 집어삼킨 느낌이랄까? 

 

어떻게 이렇게 잘 아냐고? 

후 몇십키로 감량하면서 내가 100번도 더 한 행동들이기 때문이다. ㅋㅋㅋㅋㅋ 

허수의 마음은 허수(였던 나)가 제일 잘 안다.  

 

이런 과정을 몇번 거쳐보면서 필요한 행동이 무엇인지 알게되었다. 

 

운동가기전 쓸데없는 잡념이 마구 떠오를 때 

머릿속으로 상상해라.

이 잡념은 불필요한 생각의 꼬리들이고, 나는 지금 이 잡념을 '가위'로 CUT하고 

'생각하기'를 멈추고 운동하기를 선택하는 것이다. 

 

요약하면, 

CUT -> STOP -> EXERCISE

 

남자와 여자가 달리기 준비 전 동작을 취하고 있음.
출처: https://www.garmin.co.kr/news/pressroom/news-2021-feb-exercise/

 

EXERCISE를 DO로 본다면 이 공식을 많은 부분에 적용시킬 수 있다. 

공부하기 전, 집안일을 하기 전, 일하러 가기 전 잡념이 들 때마다. 

 

기억하자. 

"생각의 가위"

 

 

 

검정색 가위
출처: http://badjocks.com/wp-content/uploads/2011/04/scissors.jpg

 

어떻게 하면 운동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지, 

혼자서 운동할 지, 누군가에게 가르침이나 도움을 받을 지 등 

방법론에 대한 고민은 오늘 필요한 운동의 할당량을 마치고 고민하는 것이다.